반응형 프로세스 반응형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운영체제]Process Address Space 메모리내 프로세스 구조 (Code segment, static data 등) 운영체제 목차 이전 포스팅에서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의 차이를 알아봤어요! 프로세스와 프로그램 차이 요약 다시 정리하면 프로그램은 실행 파일로, 파일 시스템으로 존재하는 것이 실행파일이고, 실행을 해서 실행되고 있는 주체를 프로세스라고 했습니다. 즉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하나의 인스턴스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했습니다. 결국 수행과 스케줄링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것이죠! Process ID를 PID라고 줄여서 이야기를 하고, Windows에서도 ctrl+alt+delete를 누르면 작업관리자가 뜨면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을 확인할 수 있고 세부정보에 들어가면 PID를 볼 수 있습니다. 작업관리자 PID는 다 숫자로 나옵니다@ Process Address Space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어야 프.. [운영체제]프로세스와 프로그램 차이는? (Process vs Program) 운영체제 목차 A process is a program in execution Program이란? Program과 Process의 차이는 매우 간단한데 이름이 비슷하기도 하고 워낙 많이 쓰니까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있더라고요. Program은 실행파일입니다.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실행파일이 프로그램입니다. 즉 '.exe'로 끝나는 파일들 많이 보셨죠?! 그런 것들이 프로그램이에요. MapleStory.exe(메이플), Hwp.exe(한글)등! Process? 자 사용자가 이런 것들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하게 되면 운영체제가 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줘야 하죠. 그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는 실행 주체 그것을 인스턴스라고도 표현을 합니다. 프로그램의 하나의 인스턴스 그것이 프로세스예요! 즉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