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분투

반응형
(5)
리눅스 OS 배포판 종류와 역사, 특징, 목적, 추천 등 (우분투, 데비안, 페도라, CentOs, 레드햇, 슬렉웨어 등등) [ 리눅스 Linux 완전 정복, 목차 링크 정리 ] 안녕하세요 ! 리눅스를 시작할 때 한번쯤은 고민을 해봤을 법한 리눅스 종류와 선택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저 또한 다양한 리눅스 제품을 전문적으로 사용해본 것도 아니고.., 회사에서도 유닉스 서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선택에 따른 체감이 높은 편은 아닙니다. 그나마 건드려본게 우분투, 페도라, CentOs정도인데.. (유명한 건 그냥 끄적여본 정도..ㅋㅋ) 서비스하기 위해 서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큰 차이를 체감하시기 힘들거예요.. 그러므로~~~ 그냥 자격증 문제를 풀 수 있을 정도 가벼운 개념 정도와, 차이를 인지하는 정도로 훑어보려고 합니다. ▼리눅스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이전 포스팅 리눅스의..
[리눅스]기본 허가권,퍼미션 지정(제어, 설정)하기(umask와 작동 원리) 및 관련문제 리눅스 완전 정복 : 리눅스 목차 저번 포스팅에서 파일 권한에 대해서 알아보고 파일 권한을 지정하는 방법을 살펴봤어요 이 포스팅을 처음 접해 파일 권한 내용을 모르시면 이 포스팅을 읽고 와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허가권 설정 확인하기 1. 파일 생성으로 기본 허가권 어떻게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보자 먼저 파일을 생성한 후에 ls 명령어를 이용해서 새로 생성된 파일은 어떤 허가권을 갖는지 확인해볼까요? ubuntu 홈 디렉터리에 new.txt(우분투 유저가 생성)와 roototxt.txt(root 유저가 만듬)을 생성해줬어요. 또 디렉터리 허가권도 설정하기 위해 디렉터리도 하나 생성해줬어요. [빨간색 점으로 표시해놓은 라인이 생성된 파일과 디렉터리입니다] 보니까 파일을 생성한 자가 파일을 소유하고 있네요 1..
[리눅스]Desktop에서 gedit으로 파일 만들기 (우분투 파일 생성 간편 메뉴키 등록) 저번 포스팅에서는 에디터가 뭔지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gedit 에디터를 이용해서 우분투 Desktop 가상 컴퓨터에다가 파일을 생성해보겠습니다. ubuntu GUI환경에서 gedit 텍스트 파일 만들기 Vmware Ubuntu Desktop에 로그인해줄게요 텍스트 파일은 터미널을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고 아이콘을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어요먼저 아이콘으로 텍스트 파일 생성하기맨 밑에 Show Applications라고 설치된 앱의 목록을 보여주는 점 9개짜리 아이콘을 누른 후 저 보이는 텍스트 아이콘을 클릭하면 편집창이 딱 뜹니다. 그 폴더에다가 바로 만들고 싶을 경우에도 매번 아이콘 목록창으로 들어와서 작성해줘야 해서 은근 번거롭습니다(윈도우의 경우로 예를 들면:C\Users 폴더 내부..
vmware 우분투 Desktop(Client)설치하기 리눅스(Linux) 목차 저번에는 우분투로 서버를 설치해봤으니 클라이언트를 설치해봅시다. VMware설치가 안되어 있는 사람은 VMware설치해오기~! 그림 클릭하면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URL: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LTS와 그냥 버전의 차이는 저번 서버 포스팅에서 언급했어요. LTS버전을 다운로드 해줍시다! 저번처럼 로그 및 기타데이터들을 저장할 Desktop 폴더를 저장하고 싶은 위치에다가 생성해줄게요. 저는 여기다가 다음 사진과 같이 방금 다운로드 받은 iso파일을 저장해줬어요 이전에 받은 server.iso파일과 server폴더가 보이네요 ㅎㅎ VMWare 키기~~ ->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눌러줍니다 이제 vmware를 ..
가상머신 Vmware에 우분투 서버 설치 (LTS와 기본 차이, 설정, 18.04설치, 파티션이란) 리눅스(Linux) 목차 우분투 서버 가상 머신 만들기 오늘은 vmware에 가상 서버를 설치해봅시다.VMware설치가 안된사람은 설치하고 오기~~오늘은 리눅스 종류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중 하나인 우분투 서버를 설치해보려해요 download ubuntu server라고 구글에 검색하면 바로 나오는 우분투 사이트에 들어가주세요 링크 ↓https://www.ubuntu.com/download/server 우분투 LTS버전과 그냥 우분투 버전의 차이? 그림에 보면 LTS버전이 있고 그냥 버전이 있네요 LTS는 long term support의 줄임말로 안전성 기반이라 생각하면 됩니다아래(기본)거는 거의 반년마다 업데이트 되는, 최신 기능들이 다 포함된 버전이고, LTS는 2년마다 나오는만큼 기본만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