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 목차
리눅스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리눅스가 뭔지도 모르면 안되겠죠!
운영체제가 무엇인지 감이 안잡히신 분들은 '운영체제란?'의 포스팅을 먼저 보고 오시는걸 추천드려요
리눅스란?!
가장 대표적인 오픈 소스 운영체제죠
자 운영체제는 크게
PC에서 돌아가는 운영체제와 서버쪽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가 있어요
PC는 우리가 쓰는 노트북, 데스크탑 PC같은 거니까 맥, 윈도우가 제일 친숙하죠. 윈도우, MacOS, 리눅스가 있습니다.
서버쪽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는 윈도우즈서버, 리눅스, 유닉스가 있어요
(사실 유닉스는 고유명사 같은거고 회사마다 제품들이 다 있습니다. HPUX, 솔라리스, AIX 등등 엄청나게 많은 유닉스들이 있어요)
리눅스는 둘 다 껴있네요~ ㅎㅎ PC에서도 사용하긴 하지만 사실 윈도우가 거의 장악했고 리눅스는 서버에서 사용되는 정도가 훨씬 높아요
옛날에는 서버컴퓨터는 100프로가 다 유닉스였어요
그런데,
현재 구글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는 뭘까요? 리눅스! 리눅스 가지고 자기네들이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하고 있어요
네이버 또한 리눅스를 가지고 커스터마이징 해서 서버로 쓰고 있죠!
왜 리눅스가 갑자기 이렇게 인기가 올랐을까?! 예전에는 다 유닉스였는데 왜 바뀌었을까?
간단합니다. ㅎㅎ 공짜니까요 ㅎㅎ 유닉스는 유료거든요. 역시 돈이 중요해.. ㅎㅎ
리눅스는 공짜니까 많은 회사들이 입맛에 맞게 최적화해서 씁니다.
근데 은행같은 경우는 시스템이 바뀌는 데 시간이 엄청 오래걸려요. (계좌가 털리면 끝장나니까..ㅎ 아무래도 보수적이고 안정성을 추구할 수 밖에 없겠죠 쉽게 바뀌기 힘들어요)
그래서 은행 전산 시스템은 아직도 예전의 유닉스가 대부분 차지하고 일부에서는 코볼로 된 프로그래밍이 돌아가기도 한답니다. (코볼은 요새 잘 못보는 진짜진짜 오래된 프로그래밍 언어예요)
하지만 앞으로 신규는 다 LINUX라고 보면 됩니다
특히 스마트 TV 시장의 95프로가 LINU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눅스가 왜 중요한지!! 알겠죠?!
이정도로 인기가 많아지고 있으면 집에서 리눅스 운영체제를 하나 깔아서 써봐야하지 않겠어요?
적어도 리눅스를 사용할 줄은 알아야 하니까요 ㅎㅎ
따라서 앞으로 이 블로그에서는 vmware(가상 컴퓨터 생성기)를 통해 리눅스 관련 포스팅을 조금조금 다뤄볼거예요
리눅스의 탄생!
만든 사람은 핀란드의 컴퓨터 공학과 학생이던 리누스 토발즈? 토르발스? (둘다 됨)에 의해서 개발되었습니다.
리눅스는 유닉스 운영체제를 모델로 만든 운영체제예요.
그 때 유닉스에 관심이 많았던 리누스 토발즈가 유닉스 시스템의 작은 버전인 미닉스(Minix)보다 좋은 운영체제를 만들자! 목표를 두고 1991년에 0.01버전으로 나온 것이 리눅스입니다. 그리고 이름은 자신의 이름을 따 붙였어요 ㅎㅎ
첫 공식 버전인 0.02는 같은 해 10월에 발표한 이후로 전 세계 많은 개발자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지속적으로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리눅스는 시기적으로(?) 여러가지 원인들이 겹쳐, 거의 공개 직후부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유닉스의 일종인 BSD가 소송에 휘말리면서 대체품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도 하나의 원인이었죠.
사실 리눅스가 오픈 소스 개발의 모체이기도 한데, 그 때 당시 폐쇄적인 사회에서 소스코드를 공개한 것도 획기적이었습니다.
리눅스의 개발과 오픈소스에 대해서...
흔히 현재의 리눅스가 리누스 토발즈가 혼자서 개발한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실제로 리누스 토발즈는 커널이라고 부르는 리눅스의 핵심 부분만을 작성해 배포합니다. (커널은 리눅스의 핵심)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리눅스는 리눅스 토발즈가 만든 커널에 컴파일러, 셸, 기타 응용 프로그램들이 조합된 배포판을 말해요. 다양한 회사나 여러 개발자가 만들기 때문에 배포판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소스코드가 다 오픈되어있으니!)
이것이 리눅스의 핵심 특징 중 하나인데, 폐쇄적인 유닉스와는 다르게 리눅스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 프리웨어입니다. 우분투도, 페도라도 수많은 배포판 종류 중 하나이죠.
현재 리눅스 커널은 처음 개발자인 리누스 토발즈의 주도 하에 개발이 진행되는데, 본인이 개발한 소스를 메일로 보내면 토발즈가 이 소스를 테스트하여 유용하다고 판단되면 커널에 포함시키는 동시에 공식 버전을 만들어 배포합니다.
참고로 리눅스는 GNU 프로젝트에 의해서 완성되었으며 정확히는 GNU/LINUX 라고 부르는 것이 맞습니다.
FSF의 GNU란?
↑ GNU 공식 사이트입니다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기 전인 1984년, 리처드 스톨먼에 의해서 GNU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GNU란 재귀적 약자로 GNU's Not Unix 즉 "GNU는 유닉스가 아니다"라는 뜻으로 유닉스와 호환이 되면서 더 강력한 운영체제를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리처드 스톨먼을 주축으로 자유로운 소프트웨어를 희망하던 공동체들이 가장 먼저 운영체제인 유닉스를 모태로 개발을 시작하면서 이 말이 탄생되었습니다.
GNU 프로젝트는 소프트웨어의 상업화에 반대해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래서 리처드 스톨먼이 설립한 FSF(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의 대부분은 GPL(general public license)를 따르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 한 예시로 매크로 개발 툴 오토핫키도 보면
얘도 Open Source! Free software를 지지하는 GNU의 GPL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네욤
GPL (General public license) ?
리눅스는 GNU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발전해왔기 때문에 FSF(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GPL을 따릅니다.
FSF의 창시자인 리처드 스톨먼은 GNU GPL에서 다섯 가지의 의무를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서 강제합니다.
●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떠한 목적으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법으로 제한하는 행위는 할 수 없다.
●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복사본은 언제나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와 함께 판매하거나 소스코드를 무료로 배포해야 한다
● 컴퓨터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용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반드시 공개 배포해야 한다
●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반드시 똑같은 라이선스인 GPL라이선스를 적용해야한다.
▼GPL외에 다른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대해서 공부하고자 하면 다음 포스팅을!
https://jhnyang.tistory.com/134
[Linux, 리눅스 마스터] 오픈소스 SW 라이선스 (license)의 종류와 특징 (MPL, BSD, Apache, LGPL 등등)
[ 리눅스 / LINUX 완전 정복 목차, 포스팅 링크 모음 ] 점점 리눅스 마스터 자격증 시험 날짜가 다가 오고 있군요 ㅎㅎ 오늘은 그냥 오로지 자격증 대비를 위해, 단골 문제 중 하나인 라이선스에 대해서 다뤄보겠..
jhnyang.tistory.com
리눅스의 특징
이제 리눅스가 뭔지, 역사는 우땠는지, 어떤 대표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아봤으니 정리해봅시다.
-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처리 시스템
유닉스가 배경에 있으니 유닉스의 다중 사용자, 멀티유저 시스템 등 닮았음
- 커널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가 공개된 시스템
GPL!
-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환경 지원
리눅스는 네트워크에 관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컴퓨터에서 구현된 네트워크 기능은 모두 리눅스에 있다고 보면 된다
- 리눅스는 약간의 어셈블리어 언어와 대부분 C로 작성되어 뛰어난 이식성을 보유
- 유연성과 확장성
- 뛰어난 안정성과 보안성
리눅스 환경은 타 OS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환경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발전시킨 결과다!)
-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제공
- 다양한 배포판의 존재
우분투, 레드햇, 데비안 등등.
기출문제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A형 1602회]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1985년 자유소프트웨어의 생산, 보급, 발전시키기 위해 리처드 스톨만이 세운 비영리 조직이다.
자유 소프웨어란 무료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유(Free)는 구속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의 자유로서 프로그램의 변경이나 수정의 자유를 말한다.
----------------------------------------------------------------------------
1. BSD
2. GPL
3. GNU
4. FSF
답: 4
공감 or 댓글 or 광고보답은 항상 더 좋은 포스팅을 제공하고자 노력하는데 큰 힘이 된답니당 ♥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또 봐요!
'별걸다하는 IT > 리눅스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Linux]X윈도란? X윈도 뜻, 역사, 특징 & 관련 문제 (1) | 2019.02.05 |
---|---|
vmware 우분투 Desktop(Client)설치하기 (0) | 2019.02.04 |
파일 검사&수리 명령어(fsck, e2fsck)과 파일 시스템 손상 상황 등+ 관련 문제 (0) | 2019.01.24 |
알아야 할 리눅스 파일 및 디렉터리 기본 명령어 2탄 및 관련문제 (mkdir, rm, rmdir, cat, mv, cp) (2) | 2019.01.22 |
알아야 할 리눅스 파일 및 디렉터리 기본 명령어 1탄 및 관련문제(cd,ls,pwd, touch 등) (4) | 2019.01.22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