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별걸다하는 IT/운영체제 OS

반응형
(49)
[운영체제 OS]스케줄링 알고리즘 SJF(Shortest Job First) 정리, 장점, 한계, non preemptive [운영체제 목차, 포스팅 링크]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쓰는 운영체제 글이야요 무엇을 주제로 포스팅을 할까 고민하다가 운영체제 스케줄링 알고리즘 포스팅을 FCFS, RR, Multilevel Queue까지만 진행한 것 같아서 오늘은 운영체제 글의 완성도를 높일 겸 FCFS 알고리즘 이후에 나온 SJF 알고리즘을 살펴볼게요 Shorteset Job First Scheduling (SJF) 최단 작업 우선 스케줄링 SJF가 나온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려면 먼저 그 전 단계인 FCFS 알고리즘의 단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해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솔루션이 제기 되는거니까요! 자 그럼 잠깐 FCFS의 문제점을 짚고 넘어갑시다. FCFS 문제점? waiting time이 커요. 기억이 안나는 친구들을..
[운영체제 OS]Address Binding 주소 할당, 주소 바인딩, 논리적 주소(logical) vs 물리적 주소(physical), 컴파일 타임 [운영체제 목차] 안녕하세요~!! ㅎㅎㅎ 메모리 관련 문의글이 많아, 가장 기초적인 주소 할당부터, 그 종류, 페이징, 캐시메모리...쪽을 한번 먼저 쭉 다뤄볼까해요 ㅎㅎ 요새 기다려주시는 사람들이 있다는걸 알게되니까...?ㅎㅎ 시간이 없는데 노트북부터 켭니다 ㅎㅎㅎㅋㅋㅋㅋ PHYSICAL ADDRESS 물리적 주소란? 이 포스팅이 들어가 있는 운영체제 챕터도 그렇고, 제목도 그렇고 메모리와 연관되어 있다는건 다들 눈치채셨겠죠 어떤 프로그램을 돌리는데 메모리를 잡아먹는다, 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걸 보면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그 데이터가 메인메모리(RAM)을 차지하면서 실행되는구나' 를 기본적으로 생각할 수 있어요. 우리가 '메이플 스토리.exe'를 눌러서 실행시켰다고 합시다. 고럼 실행하기 위해..
[운영체제 OS]우선순위 스케줄링(Priority Scheduling) 총정리,장단점, aging 스케줄링, 우선순위 부여기준 [운영체제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선순위 스케줄링에 관한 내용을 들고 왔어요 ㅎㅎ 우선순위 스케줄링이란? 우선순위 알고리즘이 나오게 된 흐름! 이전 SJF가 되었던 SRTF가 되었던 이 스케줄링 방식은 우리 컴퓨터 방식에는 적용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어요!! 한번 흐름을 다시 볼까요? waiting time을 줄여야 하는데 waiting time이 FCFS가 좀 컸어요 그래서 FCFS를 사용 못했죠? 근데 waiting time을 줄이려고 SJF를 썼더니 이거는 또 쓸 수가 없어!! 예측하기가 너무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그 다음에 우리가 살펴볼 알고리즘이 Priority scheduling!! 우선순위 스케줄링이란? Priority scheduling은 말 그대로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
[운영체제]캐시 메모리 사상 방식1 - 직접사상 Direct Mapping [운영체제 목차] 캐시 메모리 사상 방식 캐시 메모리는 저번 포스팅에서 다뤘으니 다 아신다는 가정하에 글을 시작할게요 캐시는 주기억 장치에서 자주 쓰는 것만 저장해둬서 속도를 빠르게 하는 역할이잖아요? 그러므로 캐시는 주기억 장치보다 크기가 작을 수 밖에 없어요. 캐시 기억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옮기는 것을 사상이라고 하고 직접 사상 Direct Mapping 연관 사상 Associate Mapping 집합 연간사상 Set Associate Mapping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직접 사상부터 찬찬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접 사상 - Direct Mapping 쉽게 말하면 메인메모리와 캐시를 똑같은 크기로 나누고 순서대로 매핑하는 것을 말합니다. 블록은 업로드 될 수 있는 지정된 라인을 가..
[운영체제]컴퓨터 시스템 발전과정, 역사- 메인프레임mainframe, 배치 batch 시스템, Resident monitor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오늘은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볼거예요. Mainframe system (오늘 할 메인프레임 시스템), Multiprogramming systems, Time-sharing systems, desktop systems, parallel systems, Distributed systems, Clustered systems, Real-time systems, Embedded systems, Handheld systems 이게 다 컴퓨터 시스템 종류입니다. PC만 컴퓨터인 줄 아는데 우리 컴퓨터 시스템은 이렇게 많은 종류가 있어요!! 컴퓨터 시스템은 여러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 포스팅에 다 설명을 하기에는 내용이 ..
[운영체제]HDD 하드디스크 구조, magnetic disk 자기디스크 구조, 실린더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Chapter 12 Secondary-Storage Architecture 요새 하드디스크에서 SSD로 많이 바뀌어가지고 사용하는 추세지만 아직 가격적인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았죠 그래서 아직은 보조기억장치 하면 하드디스크(HDD)를 생각합니다. 한 5년뒤면 SSD로 완전히 넘어가는 날이 오겠지만...ㅎㅎ 이번 포스팅에서는 HDD가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또 이로 인한 운영체제의 고려 사항이 뭔지를 얘기해볼 겁니다. 하드디스크는 뭔지 다 알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입니다. 자기디스크의 한 종류예요. 컴퓨터 안에 들어있는 이렇게 생긴 아이가 하드디스크입니다. 우리가 컴퓨터 키면 항상 보였던 폴더 '로컬 디스크(C:)' '새 볼륨(D:)' 등이 예전에는 하드디..
[운영체제]디스크 스케줄링 FCFS(First Come First Served) 선입선처리 스케줄링 [운영체제 완전 정복 목차] 디스크 스케줄링 FCFS (First Come First Served) 디스크 스케줄링에서 가장 처음 나온 것이 FCFS, FIFO입니다. 프로세스 스케줄링에서 배웠던 FCFS와 개념은 동일해요. The simplest form of disk scheduling is of course, the first-come, first-served (FCFS) algorithm 당연히 디스크 스케줄링에서 가장 심플한 방식은 FCFS 알고리즘 입니다. This algorithm is intrinsically fair, but it generally does not provide the fastest service. 가장 먼저 들어온 것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본질적으로 제일 공평한 ..
[운영체제]Swapping 스와핑(Swap 스왑)이란? 프로세스 교체, VMM과 차이 [운영체제 목차] Swapping 스와핑이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스왑(Swap)이라는 단어는 두 개의 값을 맞바꾼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영체제에서 의미하는 것은 이와 다르지만 결국 맞바꾼다는 개념은 유사해요. A process must be in memory to be executed. 프로세스는 실행되려면 반드시 메모리에 올라가야해요. A process, however, can be swapped temporarily out of memory to a backing store and then brought back into memory for continued execution. 근데 프로세스는 메모리에서 잠깐 뒤 저장공간(하드웨어나 SSD)로 빠졌다가 다시 메모리에 돌아왔다가 이런식으로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