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별걸다하는 IT/운영체제 OS 반응형 (49) 썸네일형 리스트형 [운영체제 OS] TLB의 등장 - 페이지 테이블 성능 문제와 개선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양햄찌 블로그 주인장입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운영체제 포스팅을 올려보려고 해요 저번 시간에 페이지 테이블까지 설명을 진행했던 것 같으니 이번에는 TLB에 대한 개념을 다뤄보려고 해요. 제 포스팅을 좀 본 분이면 아시다시피 저의 글은 FLOW가 중요합니다~~ 앞의 목차를 통해서 사전 개념을 잡고 읽으시길 추천드려요 서론 우리의 소중한 자원 메모리를 100%에 가깝게 쓰기 위해서 각기 크기가 다른 프로세스를 동일 크기로 쪼개 올리는 페이징(PAGING)이라는 개념이 도입됐었죠~~? 이렇게 쪼개져있는 PAGE를 순서대로, LINEAR하게(일렬로) 실행할 수 있게 하도록! 페이지테이블(PAGE TABLE)이 필요하다는 것까지 설명을 했습니당. (요기까지가 알고 있어야 하는 .. [운영체제OS] 페이지 테이블이란? Page Table 원리와 역할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양햄찌 블로그 주인장입니다.ㅎㅎ 오랜만에 운영체제 포스팅을들고 왔어요. 지난 포스팅에서 페이징이 왜 생겼는지, 페이징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셨는데요, PAGING개념은 꼭 선행학습이 있어야 하므로 아직 개념이 확실치 않으시 독자분께서는 아래 포스팅을 선독 하시기를 추천드려요~! 페이징과 내부 단편화란: jhnyang.tistory.com/290 [운영체제 OS] 메모리 관리기법 - 페이징 (paging)이란? 내부 단편화(Internal Fragmentatoin)에 대해 알아 [운영체제 완전정복 링크 모음] 안녕하세요 양햄찌 블로그 입니당. 오늘은 드디어 운영체제에서 중요한 한 섹션을 차지하고 있는 페이징(paging)에 대해 살펴보려고 해요. 오늘 진행하려는 포스.. [운영체제OS] 장기스케줄러 vs 중기스케줄러 vs 단기스케줄러에 대해 알아보자! long, medium, short scheduler 차이점 들어봤뉘 [양햄찌가 알려주는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링크모음] 안녕하세요 ㅎㅎ 오랜만에 다시 운영체제 관련 포스팅을 들고 왔습니다 저번시간에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해서 얘기하고,, 그 다음에 아주 아주 중요한 컨텍스트 스위칭을 다루면서 PCB에 대해서 진행을 했었는데요~ 오늘은 이후 스케줄링에 대해 자세히 들어가기 전, 운영체제 스케줄링이 발전에 온 역사를 들여다보며 스케줄러를 분류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ㅎㅎ 혹시 너무 오랜만이라~~ 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과 PCB가 기억나지 않는 분은 꼭!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고 옵시다! ▼운영체제 컨텍스트 스위칭과 PCB: jhnyang.tistory.com/33 [운영체제]PCB (Process Control Block)란? PCB 정보 .. [운영체제OS] 프로세스 쓰레드 뭐가 다를까? Thread가 필요한 이유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운영체제 관련 포스팅은 오랜만이네요! 저번 포스팅에서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봤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스와 쓰레드 차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전에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 jhnyang.tistory.com/6 [운영체제]프로세스와 프로그램 차이는? (Process vs Program) 운영체제 목차 A process is a program in execution Program이란? Program과 Process의 차이는 매우 간단한데 이름이 비슷하기도 하고 워낙 많이 쓰니까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있더라고요. Program은 실행파일입니. jhnyang.ti.. [운영체제 OS] 메모리 관리기법 - 페이징 (paging)이란? 내부 단편화(Internal Fragmentatoin)에 대해 알아보자 [운영체제 완전정복 링크 모음] 안녕하세요 양햄찌 블로그 입니당. 오늘은 드디어 운영체제에서 중요한 한 섹션을 차지하고 있는 페이징(paging)에 대해 살펴보려고 해요. 오늘 진행하려는 포스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External Fragmentation이 어떤 상황을 의미하는지, 발생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흐름을 꼭 머릿속에 집어넣고 있어야 합니다! 해당 부분에 대해 잘 기억나시지 않은 분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주세용 https://jhnyang.tistory.com/264 [운영체제 OS] Fragmentation 메모리 단편화란 무엇인가? External fragmentation(외부 단편화)이란? 초 쉬운 안녕하세요 주인장 양햄찌입니당. 운영체제가 의외로 조회수는 작은데, 특정 계층에 인기(?.. [운영체제 OS] first-fit 최초적합, best-fit 최적적합, worst-fit 최악적합에 대해 알아보자!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양햄찌 블로거입니다. 오늘 오랜만에 운영체제 글을 다시 들고 찾아왔어요. 저번 시간에 External fragmentation (외부 메모리 단편화)에 대해 알아봤는데 그 내용의 연장선상입니다. 그러므로 이 글을 읽기전에 External Fragmentation에 대한 내용은 머리속에 입력되어 있어야 한다는거! 기억이 나지 않을 경우, 아래 포스팅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s://jhnyang.tistory.com/264 [운영체제 OS] Fragmentation 메모리 단편화란 무엇인가? External fragmentation(외부 단편화)이란? 초 쉬운 안녕하세요 주인장 양햄찌입니당. 운영체제가 의외로 조회수는 작은데, 특정 계층에 인기(?)가 있나봐요! (.. [운영체제 OS] Fragmentation 메모리 단편화란 무엇인가? External fragmentation(외부 단편화)이란? 초 쉬운 설명으로 흐름 잡기~ 안녕하세요 주인장 양햄찌입니당. 운영체제가 의외로 조회수는 작은데, 특정 계층에 인기(?)가 있나봐요! (뿌듯) 요청이 있어서 또 이렇게 열심히 들고왔습니다. 사실 이번편은 그림을 좀 다 그려야 되어서 힘든ㄷ... (칭얼칭얼) 암튼 잡소리는 여기까지.. 저번 포스팅에서는 MMU와 contiguous allocation에 대해 다뤘었어요. 운영체제 글은 꼭 처음부터 차근차근 읽으시는 걸 추천드려요 특히 이런 전공적인건 초반부터 flow를 매우 잘 잡는게 중요하거든요.. fragmentation은 contiguous allocation MMU 방식의 치명적인 단점입니다. paging의 발단이 되기도 하죠! 아무튼, 전 포스팅을 아직 안읽으셨다면, 아래 링크를 먼저 보고 오도록 합시당~ [운영체제 OS] MM.. [운영체제 OS] MMU(Memory management unit)란? contiguous allocation(연속메모리 할당) MMU와 메모리분할 문제, 메모리관리장치 안녕하세요~!! 양햄찌 주인장입니다. 운영체제 관련 글을 이어서 가져왔어요 ㅎㅎ 나름 많은 포스팅을 꾸준히 작성하면서 달려왔다 생각했는데 가는 길을 멀고도 멀군요... 생각보다 이거 하나 써내려가는게 시간을 넘 많이 잡아먹어서리 ㅠㅠ [운영체제 포스팅 링크 모음] 아무튼 저번시간에 주소할당을 다루면서 살짝 언급하고 넘어갔던 MMU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저번 시간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 [운영체제 OS]Address binding 로드타임 바인딩(load time binding), 실행타임(execution time) 바인딩 (run time binding) 주소할당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랜만에 들고 온 운영체제 관련 글입니다. ㅎㅎ [운영체제 OS 완전정복 목차] 저번..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