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유닉스 완전정복 목차 리스트]
안녕하세요~~!
우분투를 사용하다 보면 계정명 뒤에 컴퓨터이름이 붙는데요.
요런식으로 계정명 뒤에 붙는 컴퓨터명이 붙어요 ㅋㅋ
근데 개인적으로 쓸 때에는 다른 컴퓨터가 붙을일도 거의 없는데다가..
이렇게 문자로 되어있으면 오히려 어떤 호스트명인지 더 알기 어렵죠
심지어 저처럼 블로그하는 사람은 저거 모자이크 하는것도 너무 귀찮음..
그래서 DESKTOP-3A5RC 이런식으로 되어있는 호스트명을 간단하게 바꿔보려고 해요.
$ hostname
참고로 내 호스트명이 무엇인지 알고 싶을 경우 명령어 'hostname'을 쳐주면 금방 확인할 수 있답니다.
우분투 호스트명 변경하는 법
파일 세 개를 수정할거예요.
1. /etc/hostname
2. /etc/hosts
3. /etc/cloud/cloud.cfg
1. /etc/hostname 파일 수정하기
/etc/hostname 파일을 보니, 기존이 DESKTOP-33APRC 뭐 요런식으로 되어있어요.
이 부분을 view 편집기로 DESKTOP1으로 수정해줬습니다.
권한이 있어야하기 때문에 root로 변경하셔서 수정하시던가,
아니면 sudo view hostname, sudo vim hostname 요렇게 root권한으로 실행해달라는 sudo 키워드를 붙여서 실행해주면 돼요~!
참고로, hostname 파일은 서버가 부팅되었을 때 init시점에서 읽고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파일이예요.
hostname -F /etc/hostname
이렇게 변경하고나서 위 명령어로 hostname을 저장해줘야 합니다.
관리자계정이 아닐 경우 마찬가지로 위의 사진처럼 sudo 붙여주기!
hostname 출력해보니까 DESKTOP1으로 잘 변경되어 나오네요.
2. /etc/hosts 파일 수정하기
hosts파일은 운영체제가 hostname을 IP주소로 변환하는데 참조하는 파일이예요.
요기 부분을 원하는 호스트명으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vi로 열여서 DESKTOP1으로 변경해줬어요.
3. /etc/cloud/cloud.cfg 파일 수정하기
위의 1,2 작업까지 하면, 로그아웃을 했다가 다시 돌아와보면 적용은 되어있는데,
껐다 키거나 리부팅을 하면 다시 초기화되어서 적용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수있어요.
18.04 버전 이상부터는 hostname을 cloud-init이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서, cloud-init이 설치되어있으면 리부팅을 하면 적용했던게 다시 초기화되어버려요.
따라서 cloud설정 파일에서 cloud-init이 변경하지 못하고 기존껄 유지하도록 세팅해줘야 합니다.
cloud.cfg 파일을 열어보면, preserve_hostname이 false로 등록되어있을텐데, 이 부분을 true로 해주면 돼요.
요렇게 변경해놓으시면 껐다키거나 리부팅을 해도 변경한 호스트명으로 적용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logout 명령어로 로그아웃했다가 ubuntu를 켜보세요~!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끝~!
'별걸다하는 IT > 리눅스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유닉스] comm 명령어 사용법과 diff와 차이 알아보자, 두 파일 비교하기 중복 제거하기 (3) | 2022.05.07 |
---|---|
[리눅스/유닉스] expect 사용법, sftp/ssh 다른 서버 원격 제어하기 컨트롤하기 (2) | 2022.01.21 |
[리눅스/유닉스] stty 명령어 - 터미널 설정하기, 설정확인하기, 키보드 단축키세팅 (1) | 2022.01.14 |
[VMmware 오류] VMware Player and Device/Credential Guard are not compatible 해결 -가상화 끄기 (1) | 2022.01.12 |
[리눅스/유닉스] alias, unalias란 무엇인가, 등록 삭제 사용법과 관리파일(profile, cshrc, bashrc) (0) | 2022.01.11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