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유닉스 포스팅 링크 모음]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vmware오류 해결법을 들고왔어요.
한동안 리눅스 글을 작성안해서,, vmware를 들어갈 일이 없다가..
어느날 문득 들어가봤는데 뙇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게 아니겠어요?!?!
문제상황
알람을 읽어보니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VMware Player and Device/Credential Guard are not compatible. VMware Player can be run after disabling Device/Credential Guard. Please visit http://www.vmware.com/go/turnoff_CG_DG for more details."
VMware Player랑 장치 지키미가 서로 호환이 안된다네요.
VMware Player는 장치 지키미를 비활성화함으로써 돌아갈 수 있답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면 저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문제 원인
설명에 나와있는대로~~ 장치지키미를 끄면 됩니다.
저기 경고 알람에 같이 적혀있는 VMWARE 사이트를 참고했어요.
해당 문제는 Hyper-V가 해당 가상머신과 호환이 되지 않을 경우 발생한다.
문제 해결법
1. 컴퓨터가 윈도우10 20H1 build 19041.264 이거나 그 이후 버전이면
▶ 단순히 vmware를 15.5.6 이상으로 업그레이드 하시면 해결됩니당.
2. 그런데! 윈도우10 1909 이거나 그 이전 버전이면
▶ Hyper-V를 비활성화 해줘야해요.
1-1, 2-1. OS 버전 확인하는 법
C:\Users\user> systeminfo
내 컴이 윈도우10이긴 윈도우 10인데,, 버전이 뭔지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 cmd창에서 systeminfo 쳐주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실 VMware Help에서도 OS버전이 확인 가능하긴 해요 그래도 알아두면 종종 쓸데 있으니 cmd버전도 적어놓음!)
제 데탑의 경우 빌드가 19042이니까, 19041 이후 버전이겠네요 그럴 경우 vmware를 업그레이드 해주면 됩니다.
-> 1-2 항목으로 이동!
만약에 OS 버전이 1909 이전 버전일 경우
-> 2-2 항목으로 이동!
1-2. VMWARE 버전 확인하고 업데이트하기
vmware 버전은 Player->Help->About VMware Workstation 15 Player를 들어가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Vmware 버전이 15.5.2네요. 15.5.6이상이여야하는데 그 아래 버전이라서 에러가 났나봐요.
사실 요 화면에서도 OS 버전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업데이트 해줍시다.
VMware 버전 업데이트 하는 법을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2022.01.10 - [별걸다하는 IT/리눅스 유닉스] - 가상머신 VMware 버전 수동 업데이트 하는 법
버전 업데이트 이후에 우분트를 들어가보면 잘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 OS버전이 낮을 경우 Hyper-v 비활성화
OS버전이 그 이전 버전일 경우 Hyper-v를 비활성화 해줘야 합니다.
가상머신이나 윈도우 샌드박스 작업중에 있다면, 데이터가 날라갈 수 있으니, 백업해둔 뒤에 진행합시당.
제어판에 들어가서 '프로그램 기능'을 검색해줍시다. window+R을 눌러 실행창을 킨 다음, control을 입력하면 제어판에 들어갈 수 있어요.
Windows 하이퍼바이저 플랫폼이라고 되어있는데 이 부분이 체크되어있지 않아야 합니다!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Windows 하이퍼바이저 플랫폼'이 아닌 'Hyper-V'로 되어있을 수 있어요. 같은거니 체크를 해지해줍시다.
2-2. 부팅 옵션에서 하이퍼 꺼주기
부팅 설정에서 하이퍼관련 옵션이 켜져있는지 체크해봅시다.
명령어는 'bcdedit /enum {current} | findstr hyper'치면 확인할 수 있어요.
Auto라고 설정되어있네요. Auto는 컴퓨터 부팅시 하이퍼바이저가 자동으로 켜진다는 건데요. 이걸 꺼줄거예요.
bcdedit /set hypervisorlaunchtype off
끄는 명령어는 위와 같습니다.
해당 옵션을 꺼준뒤, 다시 확인해보면, Auto가 Off로 바뀌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Vmware를 껐다가 다시 켜보면 잘 들어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2-3. 가상화 보안 끄기
아마 2-2에서 대부분 해결이 되었을텐데요
만약에 여기까지 했는데 안된다!! 그럼 가상화 보안이 켜져 있어서 그럴 수 있어요.
가상화 보안 끄는 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1. gpedit.msc로 끄기
2. 레지스트리로 끄기
저의 경우 1번 방법은 Device Guard가 사라져서 설정이 안되더라고요.
그러므로 레지스트리 편집으로 설정을 바꿔줍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들어가주세요. 실행 명령어는 regedit!
레지스트리 편집기 위치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DeviceGuard
다행이 여기는 디바이스가드가 있음! 해당 위치로 이동해주세요.
우클릭해서 새로만들기, DWORD(32비트)를 클릭해주세요.
이름은 EnableVirtualizationBasedSecurity
더블클릭해서 값이 0인지 확인 한 번 더 해줍시다.
이번에는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Lsa"로 이동해줍시다.
똑같이 32비트 짜리 새 파일을 만들어주는데 파일명은 LsaCfgFlags로 해주세요.
이번에도 값이 0이여야 합니다. 더블클릭해서 한 번 체크!
이제 컴퓨터를 재부팅한 후에, 가상머신을 키면 잘 돌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거예요.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ㅎ
'별걸다하는 IT > 리눅스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유닉스] expect 사용법, sftp/ssh 다른 서버 원격 제어하기 컨트롤하기 (2) | 2022.01.21 |
---|---|
[리눅스/유닉스] stty 명령어 - 터미널 설정하기, 설정확인하기, 키보드 단축키세팅 (1) | 2022.01.14 |
[리눅스/유닉스] alias, unalias란 무엇인가, 등록 삭제 사용법과 관리파일(profile, cshrc, bashrc) (0) | 2022.01.11 |
가상머신 VMware 버전 수동 업데이트 하는 법 (0) | 2022.01.10 |
[리눅스/유닉스] AWK 명령어 기본적인 사용문법 - NF/NR 그리고 패턴과액션 (0) | 2021.12.15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