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상콘솔이란?
2. 가상콘솔 이동, 확인 단축키
3. 가상콘솔 사용해보기
가상 콘솔(Virtual Consoles)이란?
가상 콘솔이란 '가상의 모니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요.
윈도우는 멀티유저 시스템이 아니라 익숙치 않을 수도 있겠지만 리눅스나 유닉스는 멀티유저 시스템이라고 했었죠?
이 말은 하나의 리눅스 서버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다는 말이예요.
요로케!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요 사진처럼 원격으로 연결되는 거 말고
내 로컬 컴퓨터에 직접 연결된 환경에서 모니터를 사용해볼 수 있게 가상콘솔을 제공해줘요.
가상 콘솔 또는 가상 터미널이라고 불리는데 명칭 말마따라 GUI환경인 X윈도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가상 콘솔 이동 단축키
(Ctrl) +Alt + F1~ F6
가상 콘솔의 개수는 보통 6개이지만 배포판마다 또는 서버인지 데스크톱인지 등에 따라서 다르기도 합니다.
tty
내가 현재 몇 번째 가상 콘솔에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가상콘솔 사용해보기
가상 콘솔을 이용해서 저번 포스팅에서 배웠던 시스템 종료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각각 유저들에게 어떻게 전달되는지 확인해볼게요. 즉 가상머신 1에서는 관리자로 접속해 시스템 종료 명령어를 치고, 가상머신 2에서 해당 종료 명령어를 침으로써 다른 컴퓨터들에게 어떻게 메시지가 전달되는지 확인해보는거죠. 마치 컴퓨터가 두 대 있고 각각 하나의 서버에 다른 유저가 접속해 있는 것 처럼!
우리가 만들었던 Server 컴으로 접속해서 root로 로그인해볼게요 root 비밀번호 설정하는 포스팅에서 비번을 root로 설정해줬었죠?
시작하면 맨 위 라인에 ubuntu 18.04 LTS server tty1 이처럼 버전과 함께 tty1(빨간색 네모)이라는 단어가 떠요
tty1 얘가 나는 가상콘솔 1번이야!라고 알려주는 겁니다.
가상콘솔 확인법
tty
: 표준 출력에 해당하는 터미널의 장치 파일 이름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보통 현재 사용중인 터미널의 파일 명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그림의 파란색 박스처럼 명령어로 tty를 치면 사용 중인 터미널의 파일명을 알려줘요
다른 가상콘솔 가서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이제 각각 다른 터미널에 가서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해줍시다.
그 전에 root 계정일 때 현재 이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가 누구누구 있는지 복습겸 확인하고 갈게요
# cat /etc/passwd (사용자 계정 확인하기)
전에 만들어줬던 ubuntu랑 yang 사용자가 있네요. 사용자 추가 및 확인을 어떻게 했는지 기억이 안나는 분은 이번 기회에 이전 포스팅으로 넘어가서 복습해줍시다.
가상콘솔2로 가서 ubuntu로 접속해줄게요
Ctrl +Alt F2 (가상 콘솔 2로 이동!)
(Ctrl) + Alt + F3 (가상 콘솔 3로 이동!)
마찬가지로 가상 콘솔3으로 가서 yang으로 접속해주세요~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리눅스에 접속해 있을 때 시스템이 어떻게 종료되는 지 확인해보자
저번 시간에 배웠던 shutdown 포스팅을 활용해볼게요
shutdown 명령을 실행했을 때 다른 사용자에게는 어떻게 메시지가 전달되는지 확인해볼게요
10분뒤 컴터 종료하라는 명령어를 관리자가 쳤으면, 아마 다른 사용자에게 10분뒤 컴터 꺼지니까 알고 계세요~~ 이렇게 알림이 가야겠죠?
tty1으로 가서 (Alt F1)
# shutdown -h +10
명령어를 입력한 후 우분투로 로그인되어 있는 tty2로 이동(Alt F2) 해봅시다.
그리고 확인해보면
root로부터 온 메세지이고 이 시스템은 언제 꺼질거다!! 라고 알림이 와있습니다. 1분마다 계속 와요 ㅎㅎ
tty3로 가서 확인해봐도 1분마다 이렇게 똑같은 알림이 계속 오고 있네요
저번 포스팅에서 배웠던
shutdown -k +1로 한 번 시험해보고
종료된다는 메세지는 받았지만 실제로 종료는 되지 않는지 한 번 확인해보세요 ~ :)
다 완료 했으면 2,3 가상콘솔에서 logout을 입력해 로그아웃한 후에 원래 메인이었던 가상콘솔1로 돌아옵시다.
이처럼 가상콘솔은 우리가 멀티유저 시스템을 스스로 테스트해볼 수도 있고 마치 다수가 접속한 것처럼 실습해볼 수 잇는 아주 도움되는 기능이랍니다. 실제 모니터는 하나밖에 없는 여러개 있는 것처럼 쓸수 있다니!! 유용하지 않나요?
이 포스팅은 여기까지~! 댓글공감은 언제나 환영해요 ㅎㅎ 광고보답/공감/댓글 등은 정보공유에 큰 힘이 됩니다.
'별걸다하는 IT > 리눅스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Desktop에서 gedit으로 파일 만들기 (우분투 파일 생성 간편 메뉴키 등록) (0) | 2019.02.06 |
---|---|
[리눅스]에디터(editor)란? 에디터의 종류 및 특징 vi(vim) & Emacs & gedit (0) | 2019.02.05 |
[리눅스]시스템 종료&재시작 하는 명령어(shutdown, reboot, halt, poweroff)와 로그아웃(logout) 명령어 (3) | 2019.02.05 |
[리눅스 Linux]X윈도란? X윈도 뜻, 역사, 특징 & 관련 문제 (1) | 2019.02.05 |
vmware 우분투 Desktop(Client)설치하기 (0) | 2019.02.04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