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걸다하는 IT/리눅스 유닉스

[리눅스 Linux]X윈도란? X윈도 뜻, 역사, 특징 & 관련 문제

반응형

[ 리눅스 유닉스 셸 스크립트 완전 정보 목차 바로가기 ]

 

가상컴퓨터를 설치하고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경로 이동 및 파일 생성 명령어들을 알아봤어요.

우리가 윈도우에서도 맨날 폴더 생성하고 파일 복사하고...

이런거 하는것만 봐도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 가늠할 수 있겠죠?

 

요새 놋북은 굳이 안꺼도 되지만.. (물론 꺼주는게 좋죠 ㅎㅎ) 자동으로 꺼주기도 하고..ㅎ

컴퓨터를 키면 끄는건 당연한거잖아요/?

 

가상 컴퓨터의 시작

리눅스를 시작하려면 당연히 컴퓨터의 전원을 켜줘야 해요. 

우리 전 포스팅에서 서버와 Client 컴퓨터들을 설치하고 Start virtual machine눌러서 부팅해줬었잖아요

이렇게 부팅하면 X윈도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근데,

X윈도 시스템이 뭔가요?

우리가 윈도우가 깔려있는 노트북을 사서 키면

바탕화면이라고 하죠? 배경화면과 아이콘 등 윈도우는 우리가 사용하기 편한 그래픽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해줘요 

이거요 이거!

MS Windows의 경우 즉 우리가 쓰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그래픽 환경이 없다면 사용이 거의 어렵습니다

이런 GUI 덕분에 우리가 그냥 노트북 쓸 때는 리눅스에서 쓰는 명령어나 그런걸 외워서 사용할 필요가 없었죠 ㅎㅎ

예전~~ 아주 예전에는 윈도우도 이런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없이 콘솔창으로만 사용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X윈도 - 우분투Desktop 모드]

리눅스에서 이와 같은 그래픽 환경 기반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X윈도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윈도우와 달리 리눅스의 X윈도는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일뿐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아직도 많은 리눅스/유닉스 서버는 X윈도 없이, 우리가 설치했던 server처럼 텍스트 모드로만 사용합니다.

 

[텍스트 모드]

텍스트 모드는 X윈도우 썼을 때보다 적은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성능의 서버로 더 빠른 고성능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예요 ㅎㅎ 서버는 성능이 중요하니까!

 

정리

- reference from 위키 백과

X윈도 시스템은 주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윈도 시스템이다.

X윈도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창을 표시하며 마우스와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의 상호작용 등을 관리해 GUI 환경의 구현을 위한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X윈도 시스템은 MIT에서 1984년에 처음 개발되었다. X윈도 시스템 프로토콜의 가장 최근 버전은 1987년 9월에 나온 X11이다. 지금은 X.Org 재단이 X윈도 시스템의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X.Org재단은 X윈도 시스템의 참조 구현인 X.Org Server를 개발해서 MIT 허가서와 같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배포한다.

 

X윈도 역사에 대해서는 암기할 필요는 물론 없고 그냥 간단하게 가볍게 한 번 읽고 넘어갑시다~ ㅎ

X윈도의 역사

- reference form 리눅스마스터2급 핵심마스터

X윈도는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그래픽 시스템 개발을 위해 DEC, IBM, MIT가 공동으로 시작한 아데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Bob Scheifler와 Jim Gettys가 1984년 최초 버전을 발표하였다.

1986년 Bob Scheifler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배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만들었고, X10.4가 공개되면서 기본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87년 가을경에 현재의 모습과 유사한 X11이 발표되었고, 1988년 수많은 워크스테이션 업체에서 X윈도를 표준 윈도 시스템으로 채택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개발과 배포를 위해 여러 업체들이 모여 X컨소시엄을 결성하여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X컨소시엄에 의해서 X11버전이 처음으로 개정되어 X11R2가 발표되었으며, 1996년 최종 개정판인 X11R6버전을 발표하였고 최종적으로 X11R6.3 버전을 끝으로 X컨소시엄이 해체되었다. 그 해 오픈 소프트웨어 재단과 X/Open으로 형성된 오픈그룹이 X11R6.4를 발표하였지만, 공개 배포 라이선스 정책을 무시한 채, XFree86 프로젝트와 일부 상용 제조업체를 가로막는 라이선스 정책으로 물의를 일으킨 후 배포 라이선스 정책을 수정을 통해 1998년 9월에 X11R6.4를 재배포하였다.

1999년 오픈 그룹은 X.org를 만들고 X.org에 의해서 X11R6.5.1이 나오게 되었고 2017년 8월 기준으로 X11R7.7이 배포되고 있다. 초창기부터 개발된 X윈도를 현재 X Window System(또는 X11, 또는 X)라고 부른다.

X윈도의 특징 

X윈도는 윈도우 GUI와 다르게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기반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요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그게 뭐냐면

우리에게 보이는게 클라이언트예요, 우리가 마우스를 움직이면 '마우스 포인터를 여기에 옮겨라' 라는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해 X서버에게 보냅니다. 그러면 X서버가 명령을 요청받아 응용 프로그램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주는거죠.

이와 같이 X클라이언트는 X서버에서 동작하면서 서버에게 명령을 전달하고, X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명령 요청의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해주거나 사용자 입력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걸 말합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독립적이에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아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에서 구동될 수 있을 정도로 이식성이 뛰어납니다. 

 

X윈도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습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X윈도를 이용한 사용자 환경의 모습은 매우 다양할 수 있어요 

 

이번 포스팅은 가상컴퓨터가 시작되면서 부팅되는 X윈도가 무엇인가에 대해 잠깐 맛뵈기(?) 정도이므로 

특징까지만 얘기를 하고 자세한 실행이나 설정같은 것은 다음 포스팅에서 살펴보도록 할게요ㅎㅎ

 

기출 문제

[리눅스마스터 2급 2016년 1회 기출]

다음 중 X윈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그래픽 시스템이다.

2. 1986년에 Bob Scheifler가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만들었다.

3. X 컨소시엄에 의해서 X01버전이 처음으로 개정되어 X01R2가 발표되었다.

4. X 윈도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되어 있다.

 

댓글&광고클릭&공감은 질좋은 포스팅을 작성하는데 힘이 됩니다.

좋은게 좋은거 ?! ♡ 오늘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봐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