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git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볼거예요
git 설치가 되어있지 않으면 git 명령어를 쳤을 때 'git'은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가 뜰꺼예요.
git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git 다운로드 링크: https://git-scm.com/downloads
사진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게끔 해놓았어요!
사이트 다운로드에서 다운로드 하려는 컴퓨터와 맞는 OS를 클릭해줍시다. 저는 윈도우에 깔거라 윈도우 클릭.
제꺼 설치 기준 2.32.0이 가장 최신 버전이네요.
고럼 이렇게 실행파일이 나오는데 클릭클릭
익숙한 GNU 라이센스 ㅎㅎ 여기서 또 보는군요 ㅎㅎ Next를 눌러줍시다.
원하는 설치 위치를 지정 후 Next를 눌러줍시다.
기본 경로 위치는 C:\Program Files\Git인데 저는 D드라이브 쓰고 싶어서 D:\Program Files\Git 변경해줬어요 ㅎㅎ
최소 267.5MB 공간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기본 체크되어있는 상태에서 Next누르면 되는데요,
저는 추가로 터미널에 배시 추가 하는거 써보고 싶어서 Add a Git Bash Profile to Windows Terminal을 체크해줬습니다. 체크안해도 문제없음!
시작메뉴에 추가할건지 물어보는건데요,
혹 시작메뉴에 나타나는 것을 원치 않으신 분은 'Don't create a Start Menu Folder'를 체크해주면 됩니다.
저는 시작메뉴 잘 활용하는 편이라 검색이 될 수 있도록 체크하지않고 Next를 클릭했어요.
git 기본 편집기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에디터가 있으면 해당 에디터를 선택해주면 돼요.
저는 리눅스유닉스 서버를 오래 사용했던 경험으로 vim이 익숙해서, 기본인 vim을 그대로 선택해줬습니다.
새 레파지토리 생성할때 initail branch name 어떻게 지정할건지 묻는 건데,
그냥 Let Git Decide해주면 됩니다. Next클릭~
환경설정 PATH 지정해주는 화면입니다.
■ Use Git from Git Bash Only
Git Bash에서만 Git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거
■ Git from the command line and also from 3rd-party software
커맨드라인과 다른 소프트웨어에서도 git사용할 수 있는거
■ Use Git and optional Unix tools from the Command Prompt
git뿐만 아니라 유닉스 도구들도 일부 사용할 수 있도록 PATH에 추가된다는건데 경고에 윈도우 tool과 충돌날 수 있다고 되어있네요
두번째 옵션이 추천인데다가 git bash에서도 쓰고 cmd에서도 쓰고 파워셀에서도 쓸 수 있으니 두번째꺼 선택!
https 커넥션 방식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 Use the OpenSSL library
SSL 인증을 통하는 것과
■ Use the Native Windows Secure Channel libary
윈도우 인증서 저장소를 사용하는 것 CA방식 인증
서버를 사용해본사람들은 대게 SSL을 통해 인증하는게 익숙하죠? 첫 번째를 선택해줍시다.
체크아웃과 커밋 방식을 묻는 건데,
윈도우와 유닉스는 개행방식(엔터 줄바꿈)이 다른데, 이게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예요
실제 코드는 변경된게 없이 동일한데 어느 운영체제에서 작업했냐에 개행방식이 달라저 변경으로 인식하고 commit 요청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죠.
통일성을 위해 체크아웃은 윈도우에서 작업하기 편하도록 윈도우로 하고, 커밋은 개행이 무조건 Unix-Style로 올라가게끔 해줍시다.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어떤걸로 쓸건지 물어보는 항목. 기본인 MinTTY를 선택해줍시다. 그리고 Next~
git pull 작업 방식을 물어보는 거~ 기본 Default를 체크하고 Next로 넘어가줍시다.
DEPRECATED는 곧 사라질 예정인 권장하지 않음을 뜻하죠
비번 같은 신용 관련된 관리방법을 물어보는건데 권장하는 첫번째꺼로 선택하고 Next를 눌러줍시다.
요건 추가
옵션 할건지 물어보는건데요
파일시스템캐싱과 심볼릭링크 가능하게 할지 선택항목이 나와있네요
안해도 되지만 해도 되는,, 머 캐싱 있으면 속도면에서 좀 나아질테니까 둘다 체크하고 Next로 넘어가줍시다.
아직 안정된건 아니지만 개발중인(?) 옵션들인데요 굳이 시도해볼필요는 없으니, 생략!
여기까지가 끝입니다. Install 누르면 설치시작이예요.
두근두근 설치되는 중~ 완료되면 Finish를 눌러줍시다.
시작화면을 열어보면 설치가 잘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cmd 창에서도 git 명령어를 쳐봤을 때, 사용법이 나오는걸로 보아 제대로 설치가 되었네요!
오늘은 간단하게 git을 설치해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봐요~!
'별걸다하는 IT > 개발환경 세팅&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웹환경세팅] 비주얼스튜디오코드에서 spring boot 스프링부트 설정 및 실행하기 (1) | 2021.10.21 |
---|---|
[VSCode 라이브서버] 웹페이지 실행 결과 바로 확인 가능한 Live Server 설치 및 사용법, 한글깨짐 (0) | 2021.10.20 |
[VSCode] 비주얼스튜디오코드 터미널 파워셀에서 CMD나 ubuntu로 변경하는 법, 디폴트 터미널 변경하기 (0) | 2021.06.14 |
[유닛테스트 gtest] 비주얼스튜디오2019 빈프로젝트 구글테스트 사용법 (0) | 2021.05.24 |
(VS)비주얼스튜디오 프로젝트 저장 위치 변경하기, 워크스페이스 공간 변경 (1) | 2021.05.23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