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유닉스 완전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양햄찌 블로거입니다.
오늘은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관련 명령어들을 살펴보려고 해요~!
오늘 알아볼 명령어는 총 3개로 users, who, w 입니다.
1. users
2. who
3. w
하나의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users, who, w 명령어를 각각 쳐봤어요 ㅎㅎ
모두 로그인한 계정을 출력해주는데 포함되고 되고 있는 정보가 조금씩 차이가 있죠?
1. users 명령어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들을 출력해주는 명령어
[UNIX 유닉스]
SERVER01:/> users
user1 user1 user1 user2 monitor1 monitor1
SERVER01:/>
이번엔 유닉스 AIX 서버에서 users 명령어를 사용해봤습니다.
user1 계정으로 접속한 사용자가 4명, monitor1 계정으로 접속한 사용자가 2명이네요
이렇듯, users는 접속한 사용자가 총 몇명이지 알려주지는 않지만, 어떤 계정들이 접속해있는지 simple하게 나열해줍니다.
즉, 아주 간단하게 어떤 계정들이 로그인되어있지~?! 확인하기에 좋은 명령어!!
[로그인한 사용자 총 수 출력]
일일이 개수 세기 귀찮은대, 한 번에 그냥 로그인한 사용자 수만 파악하고 싶다면 개수를 출력해주는 wc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혹 wc 명령어가 궁금하신 분은 여기 포스팅을 참고: jhnyang.tistory.com/150
[리눅스/유닉스/셸 프로그래밍] 파일 행 단어 등 총 개수를 출력해주는 wc 명령어
[ Linux / Unix / Shell programming 포스팅 목차 링크 모음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명령어 wc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집시다.ㅎㅎ 사실 요 아이도 대게 간단한 명령어예요. 바로 시작할까요? 명
jhnyang.tistory.com
참고로 users는 따로 옵션이 없습니다.
2. who 명령어
시스템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들을 로그인 정보와 같이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users가 계정들만 출력해준다면, who는 누가 로그인했는지 로그인한 계정과 터미널, 그리고 로그인 시간까지 로그인 정보를 같이 출력해줍니다.
[who 명령어 옵션]
여기서 알아두면 좋은 몇개 옵션은~~
■ -H 옵션 : 컬럼값이 뭘 의미하는건지 컬럼명을 같이 출력해줘요
■ -a 옵션: 사용자의 모든 정보를 출력해줍니다.
H옵션과 같이 쓰면 모든 정보를 제목과 같이 출력할 수 있어요.
시스템 부팅시간, 사용자 계정명, 터미널 정보 (tty는 가상터미널, pts는 원격터미널이죠?), 로그인 시간 , IDLE시간(최종 명령 수행 후 대기 시간), PID, 런레벨 등등..
■ -q 옵션 : users 명령어랑 똑같은 기능인데, 거기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총 수도 같이 카운트해서 알려줍니다.
3. w 명령어
마지막으로 w명령어를 알아봅시다!
시스템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들과 사용자들이 수행 중인 작업 정보를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who와 w 명령어 두 개가 많이 헷갈릴 수 있는데요, who는 누가 로그인했는지에 대한 정보만 남기고 what은 모르기 때문에 who이고, w는 who와 what이 섞인 거라, 공통 문자인 'w'만 남은거라 생각하면 기억하기 좀 더 편해요!
가장 대표적 차이는 w 실행시, 맨 위에 서버 정보가 뜹니다.
[w 첫 줄, 서버 정보는 무엇을 담고 있나?]
현재시간(14:23:19) , 서버 가동 후 활성화된 시간 (39분), 몇 명의 사용자가 로그인 중인지 (2 users)
마지막으로 최근 1분, 5분, 15분간의 시스템 부하 정보를 알려줍니다.
[w 각각 필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who와 달리 FROM, JCPU, PCPU, WHAT 이런 정보들이 더 추가되었어요,
무엇을 의미하는지 한 번 살펴볼까요?
컬럼명 | 의미 |
USER |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을 나타냅니다. |
TTY | 터미널 정보를 알려줍니다. (tty는 로컬시스템 콘솔의 가상터미널, pts는 원격터미널이죠) |
FROM | 접속한 위치를 알려줍니다. 로컬시스템의 콘솔로 접속한 경우 하이픈(-), 외부에서 접속했을 때엔 도메인명이나 IP |
LOGIN@ | 시스템에 로그인한 시간 |
IDLE | IDLE 시간, 최종 명령 수행 후 대기 시간. |
JCPU | JOB CPU 시간 (시스템에 로그인 후 CPU를 사용한 시간) |
PCUP | Process CPU 시간, WHAT 프로세스에 사용된 시간입니다. |
WHAT | 현재 사용 중인 셸이나 작업 |
[w options - w 명령어 옵션]
who는 디폴트가 헤더가 포함안되는거라서 -H옵션 하면 헤더를 넣어주는거라면,,
w는 디폴트가 헤더가 포함되는거라 -h 옵션하면 헤더 없이 정보만 보여주는거
사실 w는 저의 경우 옵션을 잘 쓰진 않아서? 어려운 옵션도 딱히 없어서 이런게 있구나 참고만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오늘은 유닉스 리눅스 시스템에서, 로그인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 명령어 users, who, w 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좋아요 :) 오늘하루도 고생하셨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봐요~!
'별걸다하는 IT > 리눅스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필기 1과목 2탄 [11-20문항] 문제 풀이 해설 (0) | 2021.03.11 |
---|---|
20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필기 1과목 1탄 [1-10문항] 문제 풀이 해설 (0) | 2021.03.10 |
[리눅스/유닉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나의 계정 확인하기 - whoami와 who am i , logname, id 명령어와 그들의 차이점 (0) | 2021.02.06 |
20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필기 2과목 2탄 [31-40문항] 문제 풀이 및 해설 (0) | 2021.01.30 |
[리눅스/유닉스] jobs, fg, bg, &, nohup 명령어 - 프로세스 백그라운드로 돌려 실행하기, 포어그라운드로 돌리기 (1) | 2021.01.28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