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걸다하는 IT/리눅스 유닉스

[리눅스/유닉스 파일시스템]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df 사용예시(현재 파일시스템, 옵션, 단위 확인법 등)

반응형

[Linux / Unix 완전 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닉스 리눅스 명령어 중 용량 확인에 관한 명령어를 다룰거예요~!

가장 대표적인 명령어는 df와 du가 있는데 아무래도 예시사진이 많이 들어가면 포스팅이 길어지니까 나눠서 진행되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윈도우 파일 시스템 용량 확인

 

우리가 친숙한 윈도우에서 예를 들어보자면,

이렇게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많이 보셨죠??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스크인데, 윈도우의 경우 장치랑 이렇게 폴더랑 자동으로 연결을 해줘요 ㅎㅎ (이걸 마운트라 함)

 

↓ 마운트 포스팅

https://jhnyang.tistory.com/12

 

윈도우에서는 우클릭을 클릭해서 파일시스템의 사용 용량을 확인할 수 있었죠~!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디스크 용량 확인

유닉스 리눅스에서 이처럼 파일디스크의 용량을 확인하는 법을 알아볼겁니당 ㅎㅎ

 

유닉스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모든 것이 파일로 구성되어 있고 파일로 관리한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설정, 사용자, 프로세스, 메모리, 네트워크 등등....

 

 윈도우와는 다르게 하나의 디렉터리로부터 뻗어지는 single directory tree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접근 가능한 모~~든 저장공간의 뿌리가 결국 하나의 디렉터리랑 연결되는 거죠

 

D와 C 디렉터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

윈도우의 경우 위 사진처럼 드라이브당 각 하나의 디렉터리 트리 구조를 갖죠. D:드라이브, E:드라이브, C:드라이브 이렇게 분리된거처럼~

리눅스는 마운팅하면 저런 형식의 파일 경로를 갖지 않고 예를 들어 '/media/cdrom' 이런식으로 /의 하위 경로를 갖습니다.

즉 리눅스 유닉스에서 /dev라는 파일시스템이 있더라도 그 하위에 /dev/oracle 라는 이름으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할 수 있어요 ㅎㅎ 그리고 요 아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파일시스템의 용량을 알아보는 df 명령어

컴퓨터에서 고사양 게임을 다운로드 받을 때 꼭 용량과 사양을 체크하죠?

리눅스 유닉스에서는 특히 모든 걸 파일로 관라히기 때문에 시스템 관리자나 사용자가 파일 시스템 용량을 수시로 체크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관리자는 파일시스템 용량을 보면서 사용량 증가의 원인을 판단할 수도 있어야하고, 증가하는 파일을 수시로 확인하면서 관리해야하고,,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삭제하거나 관리해야 하는 등 여러 과제(?)를 수행해야 해요. 모니터링을 위해서 파일시스템과 디렉터리 용량을 확인하는 df와 du는 필수 명령어겠죠?

즉 사용할 일도 많고 중요한 명령어라는거~~

 

df

: 현재 마운트된 디스크의 크기, 사용량, 남아있는 용량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문법

$ df [option]

 

옵션 OPTION

옵션

의미

-a

0블록의 파일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시스템을 출력

-h

용량의 단위 표시(KB, MB, GB)를 해준다

-k

킬로바이트(kilobyte)단위로 보여준다

-m

메가바이트(megabyte)단위로 보여준다

-T

각 파티션에 대한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보여준다

-i

아이노드(i-nodes)의 사용량을 보여준다.

'No space left on device'라는 메시지가 떴을 때 대부분 I-nodes를 다 써버린 경우이다.

당연히 -h가 보기 편하니까 자주 사용하게 되겠죠?ㅎㅎ 근데 운영체제마다 옵션이 다 달라요.

IBM의 유닉스 운영체제인 AIX는 -h 옵션이 없답니다. 또 반면에 우분투에서는 키로바이트와 메가바이트는 있는데 기가바이트로만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는 없어요 ㅎㅎ (h옵션 쓰긴 하면 되니까..)

하튼 운영체제마다 차이가 있으니 꼭 man으로 옵션 확인해주기~

 

df 사용 예시

기본 df명령어

리눅스 ubuntu

리눅스 우분투에서는 k옵션과 같은 KB로 보여주는게 기본 defualt입니다.

IBM의 유닉스 서버 AIX 예시

AIX 운영체제에서는 512 bytes가 기본 사이즈예요 ㅎㅎ

 

KB, MB, GB, 용량별 단위로 보기

▶KB로 보여주는 df -k 옵션

IBM의 유닉스 서버 AIX 예시

ubuntu의 경우 default가 KB~

 

▶MB로 보여주는 df -m 옵션

리눅스 ubuntu에서
IBM의 유닉스 서버 AIX 예시

리눅스 우분투와 다르게 AIX는 소수점까지 보여줍니다

옵션뿐만 아니라 보여주는 화면 또한 운영체제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

 

▶GB로 보여주는 df -g 옵션 or -h 옵션

리눅스 우분투에서~

리눅스 우분투에서는 기가바이트를 나타내주는 -g옵션이 따로 있는건 아니지만, 

더 편리한 -h옵션이 있어요 ㅎㅎ 이 옵션을 주로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h옵션을 사용하면 K, M, G 우리가 보기 편하게 기호로 맞춰서 보여줍니다.

IBM의 유닉스 서버 AIX에서

특정 파일시스템의 사용량만 보고 싶을 때

df 이후에 파일시스템 이름을 적으면 해당 파일시스템 정보만 보여줍니다.

$ df /dev/sda2

근데 이름이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grep으로 해당 문자열이 들어간 파일시스템을 뽑아서 확인하면 되죠!

$ df | grep dev

결과창

▶현재 파일시스템 사용량만 확인 

$ df .

현재 디렉터리를 의미하는 점을 찍어주면 끝!

▶내가 가진 파일시스템의 파일타입??을 같이 확인하고 싶을 때

리눅스 우분투: -T옵션!

▶근데 여기서도 특정 타입 파일시스템만 확인하고 싶다~

tmpfs 파일시스템만 골라서 보기

어떤 유닉스 운영체제에서는 -t 옵션이 total의 약자로 출력에 할당한 총 공간에 대한 수치를 포함하라는 옵션으로 사용되기도 해요. man 명령어로 확인해줍시다.

 

df명령어 관련해서는 여기까지 할게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짝짜꿍으로 많이 쓰이는 du 명령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공감, 댓글, 광고보답은 정보공유에 힘이됩니다 :)

반응형